파리 생제르맹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생제르맹 FC는 1970년 창단된 프랑스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그 1에서 12회, 쿠프 드 프랑스에서 15회, 쿠프 드 라 리그에서 9회,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12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 유료 방송사 Canal+에 인수되며 전성기를 맞이했고, 2011년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QSI)에 인수된 후 세계적인 부자 구단으로 성장했다. 현재는 나세르 알-켈라이피가 회장이며, 홈구장은 파르크 데 프랭스, 훈련장은 캉 데 로그를 사용한다. 주요 라이벌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이며, '르 클라시크'로 불리는 경기를 펼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드프랑스의 축구단 - US 크레테유
프랑스 크레테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 US 크레테유는 1936년 창단 후 하위 리그를 거쳐 1988년 2부 리그에 승격, 2013년 샹피오나 나시오날 우승을 했으며 현재 샹피오나 나시오날 2에 소속, 12,000석 규모의 스타드 도미니크 뒤보셸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파리의 축구단 - 레드 스타 FC
레드 스타 FC는 1897년 창단되어 프랑스 축구 초창기를 이끌었으며 쿠프 드 프랑스 5회 우승을 차지한 파리 북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부침을 겪다가 2023-24 시즌 프랑스 전국 선수권 1위를 차지하며 리그 2로 승격했다. - 파리의 축구단 - 파리 FC
파리 FC는 1969년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이며, 파리 생제르맹 FC와 분리된 후 리그 2를 오가다 2024년 LVMH에 인수되었다. - 파리 16구 -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에서 출발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의 가입을 통해 글로벌 기구로 재편되었으며, 현재 38개 회원국이 경제 성장, 개발 지원, 무역 활성화, 국제 조세 규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파리 16구 - 프랑스 오픈
프랑스 오픈은 1891년에 시작되어 현재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이며, 클레이 코트에서 진행되고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무슈케테르 컵,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수잔 랑글렌 컵이 수여된다.
파리 생제르맹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명칭 (원어) | Paris Saint-Germain Football Club |
약칭 | PSG |
애칭 | 레 파리지앵 (Les Parisiens, 파리 사람들) 레 루즈-에-블뢰 (Les Rouge-et-Bleu, 빨강-파랑) |
창단 | 1970년 8월 12일 |
소속 리그 | 리그 1 |
2023-24 시즌 순위 | 1위 (우승) |
홈 경기장 | 파르크 데 프랭스 |
수용 인원 | 48,229명 |
구단주 | 나세르 알켈라이피 |
감독 | 루이스 엔리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클럽 정보 | |
풀 네임 | Paris Saint-Germain Football Club société anonyme sportive professionnelle(SASP) |
소유 |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 (QSi)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psg2324h pattern_b1: _psg2324h pattern_ra1: _psg2324h pattern_sh1: pattern_so1: leftarm1: 091150 body1: 091150 rightarm1: 091150 shorts1: 0A1254 socks1: 0A1254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psg2324a pattern_b2: _psg2324a pattern_ra2: _psg2324a pattern_sh2: pattern_so2: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
서드 유니폼 | pattern_la3: _psg2324t pattern_b3: _psg2324t pattern_ra3: _psg2324t pattern_sh3: _psg2324t pattern_so3: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
기타 | |
경기장 | 파르크 데 프랭스 |
2. 역사
파리 생제르맹은 1970년 8월 12일, 파리 FC와 스타드 생제르맹의 합병으로 창단되었다.[87] 부유한 기업들과 손을 잡은 파리 생제르맹은 초창기에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였다.[88] ''빨강과 파랑'' (Les Rouge-et-Bleu) 은 리그 2를 창단 원년에 우승하여 리그 1로 승격되었다. 클럽 발전은 1972년 파리 FC가 1부 리그에 남아 PSG가 디비시옹 3으로 강등되면서 억제되었다.[89] 파리 생제르맹은 1974년에 리그 1로 돌아왔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파리 FC가 같은 해에 강등되었다.[72] 이 수도 연고의 구단은 같은 해에 파르크 데 프랭스에 둥지를 텄다.[89] 클럽 역사상 최초로 획득한 우승 트로피는 1982년 쿠르 드 프랑스였다. 도메네크 로셰토의 PSG 일행은 결승전에서 미셸 플라티니의 AS 생테티엔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다.[90] 2-2로 연장전까지 마친 뒤, 승부차기에서 5-5로 동률인 상황에 장-마르크 필로제는 파리 생제르맹의 마지막 킥을 성공시켜 구단에 첫 우승 트로피를 선사하였다.[91] ''파리지앵'' (Les Parisiens) 은 다음 시즌에 디비시옹 1을 우승한 FC 낭트를 결승전에서 꺾으며 쿠프 드 프랑스 타이틀을 방어하는데 성공하였다.[90] 이후 파리 생제르맹은 26경기 무패행진에 힘입어 1985-86 시즌에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하였다.[72] 제라르 울리에 감독은 로셰토, 사페트 수시치, 그리고 루이스 페르난데스의 도움으로 리그 정상에 올랐다.[90]
2. 1. 창단과 초기 (1970-1980년대)
파리 생제르맹 FC는 유럽이나 남미의 축구 클럽과는 달리 종합 스포츠 클럽의 일부가 아닌 형태로 창설되었다.[24] 파리에는 1896년 창단된 라싱 클럽 드 프랑스가 있었으나, 1967년 리그에서 탈퇴하며 프로 축구 부문을 철수했다.[20] 1970년 8월 12일, 스타드 생제르맹과 파리 FC가 합병하여 파리 생제르맹 FC가 설립되었으며, 피에르 에티엔느 기요/Pierre-Étienne Guyot프랑스어[25]가 창립자 겸 초대 회장을 맡았다. 장폴 벨몽도 등 파리 출신 저명인사들도 창단에 참여했다.하지만, 생제르맹앙레를 연고로 하는 파리 생제르맹 FC에 대해 파리 시가 자금 지원을 꺼리면서, 파리 생제르맹 FC는 아마추어 클럽으로, 파리 FC는 프로 클럽으로 나뉘게 되었다. 그럼에도 파리 생제르맹 FC는 파리 사교계의 저명인사들을 끌어들이며 빠르게 성장했고, 1973년에는 디비시옹 1 (1부, 현 리그 1)에 진출했다. 같은 시기 파리 FC가 쇠퇴하면서 파리 생제르맹 FC는 파르크 데 프랭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게 되었고, 1970년대 말까지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1981-82 시즌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고,[24] 1982-83 시즌에는 같은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1985-86 시즌에는 리그 1 첫 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2. 2. 카날+ 인수와 황금기 (1990년대)
1991년 5월, 유료 TV 방송국 Canal+에 인수되면서[26] 파리 생제르맹은 풍부한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1990년대 클럽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리베리아 대표 조지 웨아, 프랑스 대표 다비드 지놀라, 브라질 대표 라이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26] 1993-94 시즌에는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조지 웨아는 1995년에 발롱도르를 수상했다.[26]UEFA 컵 위너스 컵에서 1992년부터 1998년 사이에 두 번 결승에 진출했고, 1995-96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26]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UEFA컵 준결승에도 진출하는 등 유럽 대항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6] 1990년대에는 쿠프 드 프랑스에서 3번, 쿠프 드 라 리그와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각각 2번 우승하며 국내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6]
1995-96 시즌 유리 조르카에프를 중심으로 UEFA 컵 위너스 컵을 획득했다.[26] 이 시즌에는 지네딘 지단이 이끄는 FC 지롱댕 드 보르도가 UEFA컵 준우승, FC 낭트가 UEFA 챔피언스 리그 4강에 진출하는 등, 이후 1998 FIFA 월드컵, UEFA 유로 2000에서 우승을 차지한 프랑스 대표팀의 활약을 예고했다.
1996-97 시즌에는 보스만 판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레오나르두의 활약과 파트리스 로코의 부활로 전력 저하를 막았다. UEFA 컵 위너스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바르셀로나에 패배하여 준우승했다. 1997-98 시즌에는 리그에서 부진했지만 컵 대회 2관왕을 달성했고, 1998-99 시즌에는 오거스틴 오코차 등을 영입했지만 리그와 컵 모두 부진했다. 1999-2000 시즌에는 오코차를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하며 팀 밸런스를 회복, 리그 2위를 차지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획득했다.
2. 3. 침체기와 재도약 (2000년대)
2000년에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니콜라 아넬카를, 2001년에는 그레미우 FBPA(브라질)에서 호나우지뉴를 영입했다. 호나우지뉴는 2003년까지 소속되었으며, FC 바르셀로나(스페인)로 이적했다. 2003년에는 페드루 파울레타를 영입했다. 파울레타는 2008년까지 소속되어 두 번의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클럽 통산 100득점을 달성했다.[27]2000년대 전반기에 획득한 타이틀은 2003-04 시즌의 쿠프 드 프랑스 하나였다. 2004-05 시즌과 2005-06 시즌에는 리그에서 9위로 추락했고, 2006년, Canal+는 콜로니 캐피탈, 버틀러 캐피탈 파트너스, 모건 스탠리에 주식을 매각했지만, Canal+ 철수 후에는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다. 같은 해에는 에미레이트 항공이 메인 스폰서가 되었고, 2008년에는 스폰서 계약을 2014년까지 연장했다.[28] 2006-07 시즌에는 잔류 경쟁에 참여하여 15위로 마쳤고, 어떤 컵 대회에서도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2007-08 시즌에도 16위로 마쳤지만, 쿠프 드 라 리그에서 우승했고, 쿠프 드 프랑스에서는 올랭피크 리옹에게 패배하여 준우승했다. 2008-09 시즌에는 우승 경쟁에 참여했지만, 유럽 컵 대회 출전권을 놓치는 6위로 마쳤다. 콜로니 캐피탈이 모건 스탠리로부터 95%의 주식을 구매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다. 2009-10 시즌에는 쿠프 드 프랑스에서 8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팀도 같은 대회에서 우승했다. 동일 클럽의 남녀 팀이 쿠프 드 프랑스를 독점한 것은 프랑스 역사상 처음이었다.[26]
2. 4. 카타르 시대와 리그 1 독주 (2011년-현재)
2011년 5월, 카타르 투자청(QIA)의 자회사인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QSI)가 클럽 주식의 70%를 구매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고,[29] 2012년에는 나머지 30%의 주식도 구매하여 QSI가 단독 주주가 되었다.[30] 카타르의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의 친구인 나세르 알-켈라이피가 회장에 취임하여[31] 파리 생제르맹은 프랑스는 물론 세계에서도 가장 부유한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32]레오나르두를 스포츠 디렉터로 발탁하고, 2011년 여름 하비에르 파스토레, 디에고 루가노, 케빈 가메이로, 제레미 메네스, 살바토레 시리구 등을 영입했다.[33] 특히 파스토레 영입 당시 리그 앙 역사상 최고액인 4,200만 유로의 이적료를 지불했다.[33] 12월에는 앙투안 콤부아레 감독을 해임하고 카를로 안첼로티를 감독으로 초빙했다.[27][34] 2012년 1월 막스웰, 알렉스, 티아고 모타를 영입했다.[27][34]
2012년 여름, 에세키엘 라베시, 티아고 실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등을 영입했다.[33] 챔피언스 리그 8강전에서 FC 바르셀로나에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패했다. 리그에서는 19년 만에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89]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는 2011-2012 시즌 리그 1에서 30골을 기록했다.[72]
2012-13 시즌 종료 후, 안첼로티가 사임하고 로랑 블랑을 초빙했다. 에딘손 카바니, 뤼카 디뉴, 마르퀴뇨스를 영입했다. 특히 카바니는 리그 앙 역사상 최고액인 6,500만 유로, 마르퀴뇨스는 10대 DF로서 파격적인 이적료 3,000만 유로였다. 2013-14 시즌 리그 경기에서는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하였다.
2014-15 시즌 UEFA의 재정적 페어플레이에 걸린 영향으로 팀 강화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 6,000만 유로로 제한되었지만, 다비드 루이스를 영입했다. 챔피언스 리그 16강에서 첼시를 꺾었지만, 8강에서 FC 바르셀로나에 패했다. 리그 3년 연속 우승,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프랑스 역사상 처음으로 국내 4관왕을 달성했다.
2015-16 시즌 벤자민 스탐불리, 레이빈 쿠르자와, 케빈 트라프, 앙헬 디 마리아를 영입했다. 리그 4연속 우승을 확정지었지만,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4년 연속 8강의 벽을 넘지 못했다.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우승으로 2시즌 연속 국내 4관왕을 달성했다.
2016-17 시즌에는 블랑 감독을 해임하고 우나이 에메리를 초빙했다. 아템 벤 아르파, 토마스 뫼니에, 그제고시 크리호비악, 헤세 로드리게스를 영입했다. 챔피언스 리그 16강 FC 바르셀로나와의 1차전에서 4-0으로 대승을 거두었지만, 2차전에서 1-6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쿠프 드 라 리그,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했다.
2017-18 시즌 다니 알베스, 네이마르, 킬리안 음바페를 영입했다.[35][36] 음바페, 카바니, 네이마르의 공격 트리오는 '''MCN'''이라고 불렸다.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인 25골을 기록했지만, 16강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패했다.
2018-19 시즌 토마스 투헬을 감독으로 초빙했다.[43] 잔루이지 부폰, 틸로 케러, 후안 베르나트, 에릭 막심 슈포-모팅을 영입했다. 챔피언스 리그 16강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1차전에서 2-0으로 승리했지만, 2차전에서 1-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2019-20 시즌 레오나르두가 스포츠 디렉터로 복귀했다. 케일러 나바스, 아부 디아로, 파블로 사라비아, 이드리사 게예, 안데르 에레라, 마우로 이카르디를 영입했다. 리그 앙이 중단되었지만, 중단 시점까지의 경기당 승점에 의해 산출된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며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45][46]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했지만 FC 바이에른 뮌헨에 1-0으로 패배했다.
2020-21 시즌 치아구 시우바, 에딘손 카바니, 토마스 뫼니에 등이 계약 만료로 퇴단했다. 마우로 이카르디, 세르히오 리코,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모이스 킨, 다닐루 페레이라가 합류했다. 12월 29일, 토마스 투헬 감독이 해임되었고,[48] 2021년 1월 2일, 마우리시오 포체티노가 취임했다.[49]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에서 맨체스터 시티에 패했다.
2021-22 시즌 아슈라프 하키미, 잔루이지 돈나룸마, 조르지뇨 베이날둠, 세르히오 라모스, 리오넬 메시, 누누 멘데스를 영입했다.[50][51] '''신 갈락티코스'''로 주목을 받았으며, 공격진의 '''MMN'''(메시, 음바페, 네이마르)은 매우 강력한 3톱으로 기대를 모았다. 챔피언스 리그 16강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패했다.
2023-24 시즌, 한국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네이마르가 출전하여 3-0으로 완승했다.[52] 챔피언스 리그 8강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합계 6-4로 준결승 진출을 결정했다.
3. 경기장
파리 생제르맹 FC의 홈구장은 파르크 데 프랭스이며, 1973년 11월 10일 레드 스타 파리를 상대로 첫 홈경기를 치른 이후[102]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8] 48,712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으로, 1999-2000 시즌에 경기당 평균 43,185명으로 최고 평균 관중수를 기록했다.[9][103] 1982-83 시즌 UEFA 컵위너스컵 8강전 KRC 헹크와의 경기에서는 역대 최다 관중 수인 49,407명을 기록했다.[9][103] 1992년 카날+가 경기장 소유권을 인수하였고,[75] 1999년 파리 시는 경기장 소유권을 15년 더 연장하였다.[8][75]
파리 생제르맹의 훈련장은 캉 데 로그이며, 1970년 창단 이후부터 계속 사용하고 있다.[76] 1974년부터는 1군 팀과 리저브 팀의 훈련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10] 캉 데 로그는 2008년에 개수되었다.[59][101]
4. 엠블럼과 유니폼
첫 파리 생제르맹의 문양 (혹은 파리 FC 로고) 은 1970년에 제작되었으며, 이후 2년간 사용되었다. 로고에는 파리의 강력한 두 상징물인 공과 선박이 새겨져 있었다.[79] 파리 FC와 파리 생제르맹 FC로 분리되면서 디비시옹 3에서 다시 시작한 파리 생제르맹은 1972년에 에펠탑 로고로 알려진 역사적인 문양을 제작하였다. 이 로고는 짙은 청색 바탕과 에펠 탑의 적색 실루엣, 기둥 사이의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요람과 백색 플뢰르-드-리스로 구성되어 있었다.[79] 에펠 탑의 적색과 파리의 짙은 청색은 파리를 상징하는 2가지 색상으로 1798년 프랑스 혁명의 두 요주 인물인 라 파예트와 장 실뱅 바이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백색은 생제르맹-앙-레의 문장으로부터 도입되었고, 왕실의 생징 색상으로도 사용되었다. 요람과 플뢰르-드-리스는 루이 14세가 1638년에 생제르맹-앙-레에서 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파리 생제르맹의 색상은 파리와 생제르맹-앙-레의 역사적 연계를 나타낸다.[93]
로베르 비코 전 PSG 감독과 다니엘 에쉬테르 패션 디자이너는 발로가 루이 14세의 출생지를 탑 아래에 위치시키는 제안을 하기 전에 에펠 탑을 문양에 도입하였다.[78] 파리 생제르맹의 전 대주주였던 카날+는 1994년에 처음으로 역사적인 문양을 변경하려고 하였다. 새 문양은 구단 약자인 'PSG'와 그 하부에 '파리 생제르맹'으로 새겨져 있었다. 문양의 변경은 서포터의 분노를 샀고, 1995년에 역사적인 문양으로 복고하였다.[79] 역사적인 문양은 2013년에 나세르 알-켈라이피 PSG 회장의 승인에 의해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리메이크되었다.[94] PSG 주주인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 (QSi)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대도시 파리의 브랜드를 이용하기 위해 새 문양의 상단부에는 크고 굵은 글씨로 'PARIS'라고 새겼다. 그 외에도 루이 14세의 출생지를 뜻하는 요람이 문양에서 빠졌고, 본래 자리인 에펠 탑 밑에는 플뢰르-드-리스만 남았다. 또한, 창단 연도인 1970년이라고 쓰였던 하단부에는 'Saint-Germain'이라고 새겨져 있다.[95]
1970년, 파리 생제르맹은 클럽의 색상에 맞추어 적색 상의와 백색 하의 청색 양말을 도입하였다: 적색과 청색은 파리를, 백색은 생제르맹-앙-레를 상징한다. 적색 셔츠는 이어지는 세 시즌 동안 더 사용되었다. 1973년, 패션 디자이너 다니엘 에쉬테르가 회장으로 취임하자 유래 없는 유니폼을 고안해냈는데, 이 유니폼은 1970년대 동안 사용되었으며, 수도 연고 클럽의 강력한 상징이 되었다. 소위 에쉬테르 유니폼이라 불리는 유니폼은 중앙에 백색 테두리를 두른 적색 세로 줄무늬가 새겨진 청색 유니폼이었다. 다니엘 에쉬테르는 에펠탑 문양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1973-74 시즌에 첫선을 보인 유니폼을 디자인하였다. 에쉬테르는 원정 유니폼도 디자인하였다: 중심에 적색과 백색 테두리의 청색 띠를 두른 백색 유니폼이었다. 에쉬테르의 홈 유니폼은 그러나 1974-75 시즌에 원정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 같은 시즌 홈 유니폼은 에쉬테르가 고안한 유니폼을 반대로 도색하였다. (백색 테두리의 청색 세로 줄무늬가 새겨진 적색 유니폼) 또한 청회색의 유니폼이 써드킷으로 사용되었다. 겨우 한 시즌 후, 에쉬테르 디자인의 유니폼이 1981년까지 홈 유니폼으로 복고하였다.
1980년대에는 적색과 청색의 세로 줄무늬가 중앙에 새겨진 백색 홈 유니폼이 1981-82 시즌부터 홈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 이 유니폼은 1977년을 기점으로 원정 경기에 사용되었고, 1973-74 시즌의 에쉬테르 원정 유니폼을 재해석하였다. 이 유니폼은 9시즌간 홈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 반면, 에쉬테르 홈 유니폼은 1988-89 시즌까지 ''파리지앵'' (Les Parisiens)의 원정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 그 이후에는, 파리 생제르맹의 색상과 이질적인 청색 유니폼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그 전 시즌까지 써드킷으로 활용되었다. 1982-83 시즌과 1986-87 시즌에 파리 생제르맹은 적색 유니폼을 써드킷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1970년대 초반에 홈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96]
1990년대에 유니폼은 용품업체 나이키에 의해 혁신적인 디자인이 사용되었다. 두 시즌간 청색 유니폼이 원정 유니폼으로 사용된 후, 나이키는 1990-91 시즌에 에쉬테르 홈 유니폼을 원정 유니폼으로 부활시켰다. 홈 유니폼으로 9시즌가 사용되었던 백색 유니폼은 적색과 청색 줄무늬가 에펠 탑을 상징하도록 변경되었다. 파리 생제르맹의 용품 제공업체인 나이키는 1992-93 시즌에 에쉬테르 유니폼을 한층 더 응용하여 백색 홈 유니폼과 청색 원정 유니폼을 디자인하였다. 나이키는 1993-94 시즌에도 디자인 실험을 계속하였는데, 홈 유니폼으로 남색의 줄무늬가 있는 적색 유니폼이, 원정 유니폼으로 백색 줄무늬가 새겨진 남색 유니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서포터의 압력 하에, 에쉬테르 유니폼이 1994년에 다시 홈 유니폼으로 부활하였고, 2000년까지 큰 변화는 없었다. 원정 유니폼은 중앙에 청색 테두리의 적색의 세로줄이 새겨진 백색 유니폼 (1997-98 시즌에는 백색과 흑색 테두리) 이 사용되었다. 1999-2000 시즌까지 비슷한 디자인의 홈과 어웨이 유니폼이 출시되었는데, 이후 써드킷과 원정 유니폼 중앙에 굵은 백색의 세로줄이 새겨진 회색 유니폼으로 나오면서 또다시 변경되었다. 1996-97 시즌과 1997-98 시즌에 파리 생제르맹은 적색 유니폼을 써드킷으로 사용하였다.[97]
2000년대에 들어 나이키는 PSG 유니폼의 전통적인 디자인의 틀을 깨뜨리려 했다. 역으로, 클럽은 더 다양한 디자인의 원정 유니폼을 가지게 되었다. 2000-01 시즌 유니폼에는 백색 테두리가 제거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회색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팬의 소망과는 다르게, 나이키와 파리 생제르맹은 홈 유니폼의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였다: 이번에는 적색 줄무늬가 심장에 가깝도록 이동된 흑색에 가까운 바탕의 유니폼이 출시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회색으로 뒤덮여 있었고, 흑색의 써드킷은 패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원정 경기에 딱 한번 사용되었다. 새 시즌에, 홈 유니폼에 백색 테두리가 다시 사용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1980년대 스타일의 백색 유니폼으로 복고하였다. 홈 유니폼은 2005년까지 기존 디자인을 사수한 가운데, 원정 유니폼은 1974년부터 1976년까지의 에쉬테르 모델의 역버전으로 파리 생제르맹의 상징과 먼 (적색 소매의 베이지 유니폼) 유니폼이 사용되었다. 5시즌 간의 실험 끝에 2005-06 시즌에 에쉬테르 유니폼으로 복고하였다. 역버전의 원정 유니폼은 미국 야구팀을 연상시켰다: 가느다란 적색과 청색 줄무늬의 백색 유니폼. 그 다음 시즌, 적색 줄무늬는 또다시 가느다랗게 변하였고, 원정 유니폼으로는 초콜릿 갈색이 사용되었고, 야구팀을 연상시키는 유니폼은 써드킷으로 이동하였다. 두 PSG 유니폼은 2007-08 시즌으로 넘어오면서 1990년대 중반의 유니폼으로 회귀하였다. 한 시즌 후, 팬들의 항의에 의해, 에쉬테르 유니폼으로 복귀하였다. 원정 유니폼은 다시 회색으로 복고하였으나 적색 줄무늬가 추가되었다. 2009-10 시즌, 1993년 이래 파리 생제르맹의 가장 비전통적인 가느다란 적색 줄무늬의 청색 유니폼이 홈 유니폼으로 채택되었고, 청색과 적색 점이 찍힌 백색 유니폼이 원정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98]
2010년대는 복고 스타일의 유니폼으로 회귀하였다. 40주년을 맞은 2010년 여름, 1970-71 시즌에 사용된 유니폼을 연상시키는 적색 유니폼이 공개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에쉬테르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후자는 2011-12 시즌을 기점으로 홈 유니폼 지위를 회복하였고, 원정 유니폼은 흉부에 적색 줄무늬가 새겨진 백색 유니폼이 사용되었다.[99]
4. 1. 엠블럼
초기 파리 생제르맹의 문양은 1970년에 제작되었으며, 파리를 상징하는 공과 선박이 새겨져 있었다.[79] 1972년에는 에펠탑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인 문양이 제작되었다. 이 문양은 짙은 청색 바탕에 붉은색 에펠탑, 루이 14세의 요람과 백색 플뢰르-드-리스로 구성되었다.[79] 에펠탑의 적색과 파리의 짙은 청색은 프랑스 혁명의 주요 인물인 라 파예트와 장 실뱅 바이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백색은 생제르맹-앙-레의 문장에서 유래되었고, 왕실의 상징 색상으로도 사용되었다. 요람과 플뢰르-드-리스는 루이 14세가 1638년 생제르맹-앙-레에서 태어났음을 의미한다.[93]카날+는 1994년에 문양 변경을 시도했지만, 서포터의 반발로 1995년에 역사적인 문양으로 복귀했다.[79] 2013년, 나세르 알-켈라이피 회장의 승인 하에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새 문양 상단에는 'PARIS'를 굵은 글씨로 강조하고, 하단에는 'Saint-Germain'을 표기했다. 루이 14세의 출생지를 의미하는 요람은 삭제되었고, 플뢰르-드-리스만 남았다.[95]
4. 2. 유니폼
파리 생제르맹은 1970년 창단 당시 파리를 상징하는 적색과 청색, 생제르맹-앙-레를 상징하는 백색을 조합한 적색 상의, 백색 하의, 청색 양말을 착용했다.[96] 1973년 패션 디자이너 다니엘 에쉬테르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디자인한, 중앙에 백색 테두리를 두른 적색 세로 줄무늬가 있는 청색 유니폼(일명 에쉬테르 유니폼)은 클럽의 상징이 되었다.[96] 에펠탑 문양에서 영감을 받은 이 유니폼은 원정 유니폼으로도 활용되었다.[96]1980년대에는 백색 홈 유니폼에 적색과 청색 세로 줄무늬를 중앙에 배치한 디자인이 사용되었고,[96] 에쉬테르 유니폼은 원정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96] 1990년대에는 나이키가 다양한 디자인을 시도했으나,[97] 팬들의 요구로 에쉬테르 유니폼이 다시 홈 유니폼으로 복귀했다.[97]
2000년대에도 나이키는 전통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했으나, 팬들의 반발로 에쉬테르 유니폼으로 돌아왔다.[98] 2010년대에는 다시 복고풍 유니폼이 주를 이루고 있다.[99] 2010년, 창단 40주년을 맞아 1970-71 시즌 유니폼을 연상시키는 적색 유니폼이 공개되기도 했다.[99]
유니폼 스폰서의 경우, 초기에는 스폰서가 없었으나 1972-73 시즌 캐나다 드라이를 시작으로,[96] RTL, 카날+, 코모도어, 오펠 등을 거쳐[96][97] 2006-07 시즌부터 에미레이트 항공이 스폰서를 맡았고,[98] 2019-20 시즌부터는 아코르 그룹의 ALL(Accor Loyalty Limitless)이 새로운 스폰서가 되었다.
유니폼 제작사는 르꼬끄 스포르티브를 시작으로,[96] 아디다스, 코파 등을 거쳐[96] 1989-90 시즌부터 나이키가 제작하고 있으며,[96]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조던 브랜드의 유니폼을 사용한다.[96]
5. 서포터
파리 생제르맹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 이어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서포터를 거느린 프랑스 클럽들 중 하나이다.[82][104]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전 대통령도 파리 생제르맹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82]
1970년대에 파리 생제르맹은 파르크 데 프랭스 인근의 열성팬 확보를 위해 불로뉴 거주민과 젊은이들에게 할인된 가격에 티켓을 제공했다.[105] 그 결과 '불로뉴 콥(Kop of Boulogne, KoB)'이라는 서포터 그룹이 형성되었고,[83] 이들은 프랑스 축구에서 가장 악명 높은 팬 그룹 중 하나가 되었다. KoB는 극우적인 성향과 폭력, 인종차별, 파시즘 등으로 문제를 일으켰다.[106] 1985년에는 KoB에서 분리된 '불로뉴 보이즈(Boulogne Boys)'라는 단체가 창설되기도 했다.[83]
1990년대에는 KoB에 대항하는 '오퇴일(Auteuil)'이라는 스탠드가 만들어졌고, '수프라 오퇴일(Supras Auteuil)'과 '티그래 미스태(Tigris Mystic)' 등 다민족적인 서포터 그룹이 등장했다.[105][108] 그러나 KoB와 오퇴일 간의 갈등은 폭력 사태로 이어지기도 했다.[109] 특히 르 클라시크에서 폭력사태와 체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83]
2006년과 2010년에는 파리 생제르맹 서포터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04][112] 2006년 UEFA컵 홈경기 이후 KoB의 일원이 사망했고,[104] 2010년에는 수프라 오퇴일의 일원이 KoB 일원에게 살해당했다.[112] 또한 2008년에는 KoB가 RC 랑스 팬들을 모욕하는 사건으로 인해 불로뉴 보이즈가 해산되기도 했다.[110]
2010년 이후, 구단은 '투 PSG(Tous PSG)'라는 반폭력 운동을 시행하며 서포터 단체들을 해산시켰고,[83] 이후 일부 소규모 단체들의 재창설을 허락했다.[83]
6. 라이벌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의 라이벌 관계는 '르 클라시크'(르 클라시크/Le Classique프랑스어)로 불리며,[53] 프랑스에서 가장 치열한 더비 중 하나이다.[114] '르 클라시크'는 프랑스의 가장 큰 두 도시인 파리와 마르세유의 대결로,[114] 프랑스 사회의 중심인 파리와 항구 노동자 중심의 마르세유 간의 대결, 북쪽과 남쪽의 대결, 수도와 지방의 대결이라는 정치적인 특성까지 더해진다.[114]
이 두 클럽은 유럽대항전에서 우승을 거둔 유이한 프랑스 클럽들이며, 올랭피크 리옹이 2000년대 초반에 새로 부상하기 전까지 국내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다.[81] AS 생테티엔과 더불어 PSG와 마르세유는 프랑스에서 확고한 팬베이스를 가진 클럽으로, 이들 간의 경기는 국내에서 가장 큰 경기로 비추어진다.[81] 두 클럽은 프랑스 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클럽들이며, 해외에서도 가장 많은 팬들을 거느린 프랑스 클럽이기도 하다. 두 팀 모두 관중수에서 매년 최고를 다툰다.[114]
OM과 파리 생제르맹 서포터들 간에는 팽팽한 관계를 가지는데, 이들간의 충돌을 막기 위해 대규모 안전 대책을 세우나, 폭력 사태가 현재에도 두팀 사이에서 나타난다.[115] 이러한 적대 관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선수들이 두 클럽의 셔츠를 모두 입어보았고, 이로 인해 서포터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였다.[116]
7. 소유권 및 재정
파리 생제르맹은 1970년 창단 초기부터 재정적인 문제를 겪었다.[72] 1970-71 시즌에는 1.5M 프랑의 이윤을 남겼지만, 이후 클럽의 빚은 매년 증가했다.[117] 1973년, 앙리 파트렐 회장은 투자자 다니엘 에쉬테르를 영입하여 재정 위기를 극복했다.[72][118] 에쉬테르는 파르크 데 프랭스 영구 사용에 10,000 프랑을 투자했고, 가수 앙리 살바도르도 클럽을 지원했다.[119] 그러나 1978년 에쉬테르는 파르크 데 프랭스 중복 티켓팅 사태로 축구계에서 영구 제명되었고, 프랑시스 보렐리가 회장직을 대신했다.[120] 보렐리의 구식 경영 방식은 클럽이 1980년대 축구 산업 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게 했고, 1990년대 초 파리 생제르맹은 50M 프랑의 큰 적자를 기록하며 위기에 빠졌다.[122]
1991년, 프랑스 텔레비전 채널 카날+가 파리 생제르맹을 인수하여 재정난을 해결했다.[117] 파리 생제르맹은 텔레비전 중계로 40%의 매출을 올리며 프랑스에서 가장 부유한 클럽 중 하나가 되었고,[122] 선수 영입을 통해 9개의 트로피를 획득하며 황금기를 맞았다.[91] 1997년 카날+는 클럽의 대주주가 되었고, 2005년에는 유일 주주가 되었다. 1991년부터 1998년까지 파리 생제르맹은 건전한 재정 상태를 유지하며 시즌 €50M의 흑자를 달성했지만, 1998년 이후 다시 적자가 쌓여 2002년에는 €96M까지 불어났다. 2004년 자본 재편으로 빚이 €8M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2004년과 2006년 사이 파리 생제르맹은 프랑스 클럽 중 유일하게 큰 부채를 지녔고, 빚은 €30M에 육박했다.[117]
2006년, 카날+는 파리 생제르맹을 투자회사인 콜로니 캐피털, 버틀러 캐피털 파트너스, 모건 스탠리에 €41M에 매각했다.[123] 새 주주에 의해 파리 생제르맹의 매출은 €100M을 달성하고 지출은 점차 줄어 2009년에는 €5M 수준까지 감소했다.[117] 2008년 콜로니 캐피털은 버틀러 캐피털 파트너스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했고,[124] 2009년에는 모건 스탠리의 지분을 모두 흡수하여 클럽 지분 95%를 소유하게 되었다.[125] 2010년, 콜로니 캐피털은 새로운 투자자를 물색한다고 발표했다.[125]
2011년 5월 31일,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QSi)가 지분 70%를 인수하며 대주주가 되었고,[126][127] 콜로니 캐피털(29%)과 버틀러 캐피털 파트너스(1%)는 소주주로 남았다.[128] QSi는 2010-11 시즌 €50M에 클럽을 인수했고, 파리 생제르맹은 프랑스 최고의 부자 구단이자 세계적인 부자 구단이 되었다.[86] 2012년 3월, QSi는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여 단독 주주가 되었다.[85] QSi의 인수 이후, 파리 생제르맹은 2012-13 시즌에만 €147M의 이적료를 소비하는 등[131]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364M의 이적료를 사용했다.[132] 2013년 7월에는 에딘손 카바니를 €64M에 영입했는데, 이는 프랑스 역사상 최고 이적료이자 역대 5번째로 비싼 이적료였다.[132]
8. 선수단
8.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5일 기준)
2024년 9월 5일 기준 파리 생제르맹 FC의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잔루이지 돈나룸마 (부주장) |
2 | DF | 아슈라프 하키미 (부주장) |
3 | DF | 프레스넬 킴펨베 (부주장) |
5 | DF | 마르키뉴스 (주장) |
8 | MF | 파비안 루이스 |
9 | FW | 곤살루 하무스 |
10 | FW | 우스만 뎀벨레 |
11 | FW | 마르코 아센시오 |
14 | FW | 데지레 두에 |
17 | MF | 비티냐 |
19 | MF | 이강인 |
21 | DF | 루카스 에르난데스 |
23 | FW | 랑달 콜로 무아니 |
24 | MF | 세니 마율루 |
25 | DF | 누누 멘드스 |
29 | FW | 브래들리 바르콜라 |
33 | MF | 워렌 자이르에메리 |
35 | DF | 루카스 베라우두 |
37 | DF | 밀란 슈크리니아르 |
39 | GK | 마트베이 사포노프 |
42 | DF | 요람 자그 |
49 | FW | 이브라힘 음바예 |
51 | DF | 윌리안 파초 |
80 | GK | 아르나우 테나스 |
87 | MF | 주앙 네베스 |
※괄호 안의 국기는 다른 국적을 가진 선수를 나타내며, 별표는 EU 외 선수임을 나타낸다.
2023-2024 리그 1 기본 포메이션은 4-3-3이다.
감독은 루이스 엔리케이다.[66]
8. 2. 임대 선수 명단
포지션 | 이름 | 비고 |
---|---|---|
GK | 루카스 라발레 | 오바뉴 FC로 임대 |
DF | 후안 베르나트 | 비야레알로 임대 |
DF | 노르디 무키엘레 | 바이어 레버쿠젠으로 임대 |
MF |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 랭스로 임대 |
MF | 셰르 은두르 | 베식타시로 임대 |
MF | 헤나투 산시스 | 벤피카로 임대 |
MF | 사비 시몬스 | RB 라이프치히로 임대 |
MF | 카를로스 솔레르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로 임대 |
FW | 일리에스 후스니 | 르아브르로 임대 |
9. 역대 감독
파리 생제르맹(Paris Saint-Germain FC)은 1970년 초대 감독 피에르 펠리퐁을 시작으로 20명이 넘는 감독이 팀을 이끌었다.[69] 토미슬라브 이비치 (1988-1990), 앙리 미셸 (1990-1991), 아르투르 조르즈 (1991-1994), 히카르두 고메스 (1996-1998), 바히드 할릴호지치 (2003-2005), 로랑 블랑 (2013-2016), 루이스 엔리케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2023-) 등이 역대 감독으로 활동했다.[69]
클럽 역사상 최다인 5개의 타이틀을 획득한 감독은 루이스 페르난데스이다. 그는 1994-95 시즌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1995년 트로페 데 샹피옹, 1995-96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 2001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재임 기간 최장 기록은 루이스 페르난데스와 조르주 페로셰 감독의 5년(모두 2기 통산)이며, 지휘 경기 수 최다 기록은 루이스 페르난데스 감독의 244경기이다.[69] 2013년부터는 전 프랑스 대표팀 감독 로랑 블랑이 감독을 맡았다.[69]
감독 | 임기 |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88 ~ 1990 |
앙리 미셸 | 1990 ~ 1991 |
아르투르 조르즈 | 1991 ~ 1994 |
히카르두 고메스 | 1996 ~ 1998 |
바히드 할릴호지치 | 2003 ~ 2005 |
로랑 블랑 | 2013 ~ 2016 |
루이스 엔리케 마르티네스 가르시아 | 2023 ~ |
10. 우승 기록
10. 1. 국내 대회
파리 생제르맹 FC는 리그 1에서 12회 우승(1985-86, 1993-94,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7-18, 2018-19, 2019-20, 2021-22, 2022-23, 2023-24)과 리그 2에서 1회 우승(1970-71)을 차지했다. 또한 쿠프 드 프랑스에서 15회(1981-82, 1982-83, 1992-93, 1994-95, 1997-98, 2003-04, 2005-06, 2009-10,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2020-21, 2023-24) 우승, 쿠프 드 라 리그에서 9회(1994-95, 1997-98, 2007-08,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우승,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12회(1995, 1998,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2, 2023) 우승을 기록했다.1970-71 시즌 리그 2에서 우승하며 리그 1으로 승격한 후, 1985-86 시즌 첫 리그 1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93-94 시즌에 다시 리그 1 정상에 올랐고, 2012-13 시즌부터 2015-16 시즌까지 4시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2017-18 시즌부터 2019-20 시즌까지 3시즌 연속 리그 1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1-22 시즌과 2022-23 시즌에도 연속으로 우승하며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쿠프 드 프랑스에서는 1981-82 시즌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23-24 시즌까지 총 15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4-15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4연패를 달성했고, 2019-20 시즌과 2020-21 시즌에도 연속 우승했다. 쿠프 드 라 리그에서는 1994-95 시즌 첫 우승 이후 2019-20 시즌까지 총 9번 우승했다. 2013-14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5시즌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는 1995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12번 우승했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10. 2. 국제 대회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1회(2019-20), UEFA 컵위너스컵 우승 1회(1995-96), UEFA 인터토토컵 우승 1회(2001)를 기록했다.10. 3. 친선 대회
인터내셔널 챔피언스컵: 1회- 2015
파리 토너먼트 : 7회
- 1980, 1981, 1984, 1986, 1989, 1992, 1993
11. 클럽 행정 부서
11. 1. 코칭스태프
루이스 엔리케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장-루이 가세, 클로드 마켈렐레, 안젤로 카스텔라치가 수석 코치를 담당하고 있다. 골키퍼 코치는 니콜라 드옹이다. 필리프 람베르, 드니 르페브, 시몽 콜리네는 피지컬 코치를 맡고 있다. 수석 의료진은 에리크 롤랑이며, 브루노 르 나튀르, 제롬 안드랄, 다리오 포르, 가옐 파스퀘르, 시릴 프로가 물리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다. 조프리 마르탱은 접골사이다.11. 2. 클럽 보드진
이름 | 지위 |
---|---|
나세르 알켈라이피 | 회장 |
장-클로드 블랑 | 제너럴 매니저 |
루이스 캄포스 | 스포팅 디렉터 |
올리비에 레탕 | 보조 스포르팅 디렉터 |
필리프 부앙드뢰 | 행정 및 재정부 |
프레데리크 롱괴페 | 상업부 |
브누아 루소 | 파리 생제르맹 협회 회장 |
니콜라 아릉트 | 매표부 |
장-필리프 달래밸레 | 안전부 |
미셸 밍란 | 홍보구 |
기욤 르 로이 | 국제 관계부 |
카티아 크르제코비아크 | 대중 관계부 |
얀 괴랭 | 언론부 |
베르트랑 뢰조 | 유스 아카데미 디렉터 |
출처:[http://www.lfp.fr/club/paris-saint-germain LFP.fr]
참조
[1]
웹사이트
なぜリーグ優勝のPSGにファンはブーイングしたのか お金で強いチームは買えてもファンの心までは救えない
https://www.football[...]
2022-12-08
[2]
뉴스
Palmares
http://www.psg.fr/en[...]
2010-10-12
[3]
뉴스
IFFHS Club World Ranking 1994
http://www.iffhs.de/[...]
2010-10-12
[4]
뉴스
UEFA Team Ranking 1998
http://www.xs4all.nl[...]
2010-10-12
[5]
뉴스
IFFHS Club World Ranking
http://www.iffhs.de/[...]
2010-09-30
[6]
뉴스
UEFA Team Ranking 2012
http://kassiesa.home[...]
2011-07-22
[7]
웹사이트
中道主義の傑作、ゼロ年代のオリンピック・リヨン◎サッカー世界遺産第17回
https://soccermagazi[...]
2020-05-31
[8]
뉴스
L'Histoire du Parc
http://www.leparcdes[...]
2010-10-21
[9]
뉴스
Parc des Princes Paris
http://www.stadium-a[...]
2011-11-22
[10]
뉴스
Présentation (centre de formation)
http://www.psg.fr/fr[...]
2011-11-27
[11]
뉴스
Le PSG relance le Tournoi de Paris dès 2010
http://www.psgmag.ne[...]
2009-12-24
[12]
뉴스
France's passion play
http://www.fifa.com/[...]
2009-10-25
[13]
뉴스
Capital gains: well-connected PSG's revival is good for French football
http://fourfourtwo.c[...]
2011-12-21
[14]
뉴스
Attendances 2011/12
http://www.ligue1.co[...]
2012-06-08
[15]
뉴스
Paris is Earning
http://theclassical.[...]
2012-01-11
[16]
뉴스
Blasons, Logos, Écussons du PSG
http://psg70.free.fr[...]
2010-10-07
[17]
뉴스
PSG、新エンブレムを公開
http://www.goal.com/[...]
2013-02-23
[18]
뉴스
Les maillots du PSG depuis 1970
http://psg70.free.fr[...]
2010-09-29
[19]
뉴스
Présentation (féminines)
http://www.psg.fr/fr[...]
2010-09-30
[20]
서적
世界のサッカー応援スタイル
カンゼン
2009
[21]
웹사이트
Deloitte Football Money League 2014
http://www.deloitte.[...]
2014-09-07
[22]
웹사이트
The World’s 50 Most Valuable Sports Teams 2022
https://www.forbes.c[...]
2022-09-19
[23]
웹사이트
PSG、史上最速優勝でまず1冠 イブラヒモビッチの4ゴールなどで大勝
http://www.goal.com/[...]
2016-03-14
[24]
문서
正確にはパリ郊外の[[コロンブ]]に本拠地を置いていた。
[25]
문서
サッカージャーナリストの[[フローラン・ダバディ]]はグヨの孫である
[26]
뉴스
PSG firmly in the pantheon
http://www.fifa.com/[...]
2008-10-17
[27]
뉴스
“フランス版・銀河系軍団”パリSGがバルセロナに学ぶべき「継続力」
https://www.soccer-k[...]
2013-01-13
[28]
웹사이트
エミレーツ航空はパリ・サンジェルマン (PSG) をはじめとする世界一流のサッカー・チームを後援
http://www.emirates.[...]
2013-02-25
[29]
뉴스
パリ・サンジェルマンの果てなき野望。「華の都」で起きた現代版の“フランス革命”に迫る
http://dourakumon.co[...]
2012-07-27
[30]
뉴스
Le Qatar sans limite
http://www.leparisie[...]
2012-03-07
[31]
뉴스
Qatari investors take full control of PSG
http://www.emirates2[...]
2012-03-07
[32]
뉴스
Paris: The New Madrid
http://www.thepursui[...]
2011-12-28
[33]
간행물
劇薬イブラヒモビッチに依存する理由
双葉社
2013
[34]
뉴스
ビッグクラブへの途上。一気に戦力アップしたパリ・サンジェルマンが欧州勢力図を変える
http://sportiva.shue[...]
2012-10-10
[35]
웹사이트
ネイマール加入をPSGが発表。移籍金は史上最高額290億円、背番号は10番
https://japan.footba[...]
Football Tribe
2017-08-04
[36]
뉴스
ムバッペを確保したパリSG、獲得費は236億円超?その契約内容とは
https://web.archive.[...]
SANSPO.com
2017-09-01
[37]
뉴스
伊代表GKシリグが母国復帰、トリノ加入が決定…パリSGと契約解除
https://www.soccer-k[...]
SOCCERKING
2017-06-28
[38]
뉴스
ストーク・シティ、PSGからヘセ・ロドリゲスを獲得…1年間のレンタル移籍で加入
https://www.goal.com[...]
goal.com
2017-08-16
[39]
뉴스
ユーヴェ、PSGからMFマテュイディを獲得…3年契約で移籍金は最大40億円
https://www.soccer-k[...]
SOCCERKING
2017-08-19
[40]
뉴스
“ネクスト”Cロナ、リーガで武者修行へ。PSGでは出番が得られず
https://japan.footba[...]
FOOTBALL TRIBE
2017-08-23
[41]
뉴스
パリSGでインパクトを残せなかったクリホビアク、ローンでウェストブロムに加入決定
https://www.goal.com[...]
goal.com
2017-08-30
[42]
뉴스
トッテナム、パリSGからオーリエを獲得...移籍金は30億円超
https://www.goal.com[...]
goal.com
2017-08-31
[43]
뉴스
Thomas Tuchel devient le nouvel entraîneur du Paris Saint-Germain
https://www.psg.fr/n[...]
PSG.fr
2018-05-15
[44]
웹사이트
PSGに新たな攻撃ユニット誕生。その名も「ファンタスティック・フォー」
https://www.football[...]
2020-01-13
[45]
웹사이트
PSG champions as season ended
https://www.ligue1.c[...]
Ligue1
2020-04-30
[46]
웹사이트
リーグ・アンの今季打ち切りが正式発表…首位PSG、3年連続9度目の優勝決定
https://www.soccer-k[...]
2020-05-01
[47]
문서
[48]
웹사이트
PSGがトゥヘル監督を電撃解任! 昨季CL準優勝も上層部との意見対立が要因か
https://www.soccer-k[...]
[49]
웹사이트
ポチェッティーノ氏がPSGの新監督に就任! 現役時代2003年以来の“復帰”を果たす
https://www.soccer-k[...]
[50]
웹사이트
PSG、インテルDFハキミ獲得を発表! 移籍金は約92億円「全力を尽くす」
https://www.soccer-k[...]
[51]
웹사이트
ヌーノ・メンデス、パリ・サン=ジェルマンに移籍
https://jp.psg.fr/te[...]
[52]
웹사이트
「日本では3試合0分。180度違った」韓国で“変貌”したネイマールの無双ぶりに韓メディアは満足気!「ジャパンツアーとは異なり、贅沢にすべてを見せた」
https://www.soccerdi[...]
[53]
뉴스
Second time lucky as Marseille face PSG in Ligue 1's Le Classique
http://www.101greatg[...]
2009-11-19
[54]
뉴스
Ligue 1 Preview: Paris Saint-Germain – Olympique de Marseille
http://goal.com/en/n[...]
2010-02-26
[55]
뉴스
Paris s'impose dans la douleur dans le Classico
http://www.actupsg.f[...]
2012-04-08
[56]
뉴스
Rewind to 1993: The shame of Marseille
http://soccernet.esp[...]
2011-03-10
[57]
뉴스
OM-PSG D-2: The match that divides a nation
http://www.ligue1.co[...]
2009-10-23
[58]
뉴스
Le Camp des Loges
http://www.infopsg.c[...]
[59]
뉴스
Présentation du nouveau centre d’entraînement
http://www.psg.fr/fr[...]
2008-11-03
[60]
뉴스
Le Parc des Princes
http://www.infopsg.c[...]
[61]
뉴스
stade Parc des Princes
http://niko17.footbl[...]
2006-12-09
[62]
뉴스
Présentation (centre de formation)
http://www.psg.fr/fr[...]
[63]
뉴스
Présentation (préformation)
http://www.psg.fr/fr[...]
[64]
뉴스
La préfo labellisée " Elite "
http://www.psg.fr/fr[...]
2009-01-19
[65]
뉴스
Anecdotes autour du Tournoi de Paris
http://www.psg.fr/fr[...]
2010-07-12
[66]
웹사이트
PSG First Team Squad
https://en.psg.fr/te[...]
[67]
뉴스
Presidents
http://www.psg.fr/fr[...]
2014-06-06
[68]
뉴스
会長 - クラブ - PSG.fr
http://www.psg.fr/jp[...]
2014-06-11
[69]
뉴스
Entraineurs
http://www.psg.fr/fr[...]
2014-06-06
[70]
뉴스
Entraineurs
http://www.psg.fr/fr[...]
2014-06-06
[71]
뉴스
Tous les Entraineurs et Presidents du PSG
http://psg70.free.fr[...]
2014-06-06
[72]
뉴스
Histoire
http://www.psg.fr/fr[...]
PSG.fr
2013-06-26
[73]
웹인용
PALMARÈS
https://www.psg.fr/e[...]
2021-08-23
[74]
뉴스
TdC: A look at champions Paris SG
http://www.ligue1.co[...]
2013-07-30
[75]
뉴스
stade Parc des Princes
http://niko17.footbl[...]
2012-01-29
[76]
뉴스
Le Camp des Loges
http://www.infopsg.c[...]
2012-01-29
[77]
뉴스
Le PSG relance le Tournoi de Paris dès 2010
http://www.psgmag.ne[...]
2012-02-05
[78]
뉴스
Robert Vicot : " Je suis l'initiateur de l'échauffement collectif "
http://psg70.free.fr[...]
2013-05-09
[79]
뉴스
Blasons, Logos, Écussons du PSG
http:/
[80]
뉴스
Le PSG prend un nouveau virage
http://www.psg.fr/fr[...]
2010-07-26
[81]
뉴스
France's passion play
http://www.fifa.com/[...]
2013-02-25
[82]
뉴스
Capital gains: well-connected PSG's revival is good for French football
http://fourfourtwo.c[...]
2012-02-13
[83]
뉴스
Paris is Earning
http://theclassical.[...]
2012-02-13
[84]
뉴스
Qatar investors take stake in PSG
https://www.independ[...]
[85]
뉴스
Le Qatar sans limite
http://www.leparisie[...]
2012-03-07
[86]
뉴스
Paris: The New Madrid
http://www.thepursui[...]
2012-02-02
[87]
뉴스
PSG firmly in the pantheon
http://www.fifa.com/[...]
2010-01-19
[88]
뉴스
A brief history of PSG
http://espnfc.com/fe[...]
2013-06-26
[89]
뉴스
PSG
http://www.uefa.com/[...]
2013-06-26
[90]
뉴스
History is being written!
http://www.psg.fr/en[...]
2013-06-26
[91]
뉴스
Paris St-Germain: The Who, What, Where and How?
http://www.bigsoccer[...]
2013-06-26
[92]
뉴스
1996: Dazzling Juve shine in Paris
http://www.uefa.com/[...]
2013-07-05
[93]
뉴스
Le PSG
http://www.saintgerm[...]
2013-07-08
[94]
뉴스
Une nouvelle identité de marque pour rêver encore plus grand
http://www.psg.fr/fr[...]
2013-04-22
[95]
뉴스
New identity for Paris Saint-Germain as the club unveils its new crest
http://1970psg.com/2[...]
2013-04-22
[96]
뉴스
Historique des maillots du PSG : les années 1980
http://www.psgmag.ne[...]
2013-07-09
[97]
뉴스
Historique des maillots du PSG : les années 1990
http://www.psgmag.ne[...]
2013-07-09
[98]
뉴스
Historique des maillots du PSG : les années 2000
http://www.psgmag.ne[...]
2013-07-12
[99]
뉴스
Historique des maillots du PSG : les années 2010
http://www.psgmag.ne[...]
2013-07-12
[100]
뉴스
Formation center presentation
http://www.psg.fr/en[...]
2011-11-27
[101]
뉴스
Présentation du nouveau centre d’entraînement
http://www.psg.fr/fr[...]
2010-01-13
[102]
뉴스
Le Parc des Princes
http://www.infopsg.c[...]
2012-01-29
[103]
뉴스
Parc des Princes Paris
http://www.stadium-a[...]
2011-11-22
[104]
뉴스
16 Hardcore Hooligan Firms, Ultras Groups We Wouldn't Want to Mess with
http://bleacherrepor[...]
2012-02-14
[105]
뉴스
Two tribes
http://erraticphotog[...]
2012-02-13
[106]
뉴스
Young Parisians
http://www.wsc.co.uk[...]
2010-04-14
[107]
뉴스
Paris Soccer 'Ultras' at Center of Furor Over Fan's Death
http://www.nytimes.c[...]
2012-02-15
[108]
뉴스
La guerra civil entre sus ultras pone en jaque al PSG
http://www.marca.com[...]
2012-02-13
[109]
뉴스
Fratricidal turf war threatening PSG future
http://espnfc.com/co[...]
2012-02-13
[110]
뉴스
French football hooligans' most offensive banners
http://observers.fra[...]
2011-08-16
[111]
뉴스
PSG & the rise of the French far right
http://blogs.warwick[...]
2012-02-14
[112]
뉴스
PSG and Their Fans Don't Like Each Other
http://unprofessiona[...]
2012-02-14
[113]
뉴스
French Firms Disbanded, Members Laugh
http://unprofessiona[...]
2010-05-02
[114]
뉴스
Joey Barton puts the "punch" back into the Marseille-PSG rivalry
http://bleacherrepor[...]
2013-07-29
[115]
뉴스
OM-PSG D-2: The match that divides a nation
http://www.ligue1.co[...]
2009-10-25
[116]
뉴스
Les joueurs qui ont connu le PSG et l’OM
http://www.psgmag.ne[...]
2011-02-03
[117]
뉴스
Evolution du budget du PSG
http://parisaintgerm[...]
2012-02-08
[118]
뉴스
Which players have English counties on their backs?
http://www.guardian.[...]
2013-07-23
[119]
뉴스
Le plus fidèle supporter du PSG
http://www.lemeilleu[...]
2012-02-08
[120]
뉴스
Parcours de Francis Borelli (1/5)
http://www.psgmag.ne[...]
2012-02-08
[121]
뉴스
Les Hommes du Président – Partie 1
http://horsjeu.net/b[...]
2012-02-08
[122]
뉴스
Histoire du PSG
http://www.psgenforc[...]
2012-02-08
[123]
뉴스
Paris Saint-Germain changes hands
http://news.bbc.co.u[...]
2006-04-11
[124]
뉴스
Evolution de l'actionnariat du PSG
http://www.psg.fr/fr[...]
2012-02-10
[125]
뉴스
PSG is For Sale. Sort of.
http://unprofessiona[...]
2012-02-05
[126]
뉴스
'박주영 영입설' PSG, 카타르 자본이 사들였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1
[127]
뉴스
Qatari group takes control of PSG
http://espnfc.com/ne[...]
2011-06-01
[128]
뉴스
PSG: 'We want the new Messi'
http://www.ligue1.co[...]
2011-06-01
[129]
뉴스
I Root for Qatar Saint-Germain
http://unprofessiona[...]
2012-02-15
[130]
뉴스
Qatari investors take full control of PSG
http://www.emirates2[...]
2012-03-07
[131]
뉴스
Top transfer expenditures 12/13
http://www.transferm[...]
2013-08-03
[132]
뉴스
Top transfer expenditures between 11/12 and 13/14
http://www.transferm[...]
201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